
롯데그룹이 글로벌 제약사인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의 미국 바이오의약품 공장을 인수한다. 바이오 신사업 진출을 선언한 뒤 첫 인수합병(M&A)이다.
1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롯데는 13일 이사회를 열어 미국 뉴욕 동부 시러큐스 지역에 있는 BMS 공장을 인수하는 안건을 의결할 예정이다. 이번 거래는 공장뿐만 아니라 장비, 전문가를 포함한 인력과 운영권 전부를 포함한 영업 양수·도 계약이다. 양측은 연내에 거래 종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수 주체는 롯데가 조만간 신설할 예정인 롯데바이오로직스다. 롯데는 법인을 신설한 뒤 증자를 통해 공장을 인수한다. 인수 금액은 약 2000억원이다. 롯데는 이번 인수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뛰어들기로 했다. CDMO는 아이디어 등을 가진 연구소·바이오 기업 등의 요청에 맞춰 신약을 함께 개발하고 이를 생산해주는 사업이다. 롯데는 인수 후 CDMO 공장 전환을 위해 1000억원을 추가 투자할 계획이다.
1943년 설립된 이 공장은 2000년대 중반까지 전 세계 페니실린 생산량의 70%를 담당하다가 현재는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는 시설로 바뀌었다.
롯데그룹의 바이오사업 청사진이 공개됐다.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의 미국 뉴욕 시러큐스 공장 인수에 나서면서다. 이 공장은 세계 최대 바이오클러스터가 구축된 보스턴과 가까운 거리에 있다. 롯데는 바이오의약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이 공장을 발판으로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뛰어들 계획이다. 이를 기반으로 신약 개발 등 신규 사업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롯데그룹이 바이오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 것은 지난해부터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사장단 회의에서 직접 바이오와 헬스케어를 미래 먹거리로 육성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롯데그룹은 바이오를 메타버스 모빌리티 등과 함께 신사업으로 정하고 사업 기회를 모색해왔다.
롯데그룹은 BMS 공장 인수를 결정하면서 이런 움직임을 구체화했다. 롯데가 인수하기로 한 공장은 BMS의 생산시설 중 유일하게 상업용 생물학적 제제를 만들 수 있는 곳으로 알려졌다. 암 치료 등에 폭넓게 활용되는 각종 면역관문억제제, 류머티즘질환 등을 치료하는 항체치료제 등을 생산하는 최적의 장소다. BMS는 이 시설을 통해 면역관문억제제 옵디보와 여보이, 면역억제제 뉴로직스, 다발성골수종치료제 엠플리시티 등을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의약품 생산을 롯데가 맡을 가능성이 열려 있는 셈이다.
BMS가 이 공장 문을 연 것은 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3년이다. BMS는 2010년 공장 리노베이션에 나섰다. 이후 이곳은 바이오의약품 생산기지로 탈바꿈했다.
롯데그룹이 의약품을 생산 중인 공장을 인수하면서 허가 절차 등을 간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업계에선 평가했다. 미 식품의약국(FDA)의 검증을 거쳐야 하는 의약품품질관리인증(cGMP) 등을 생략할 수 있어 바로 제품 생산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공장은 미국 최대 바이오클러스터인 보스턴클러스터에서 차량으로 4시간 정도 떨어진 거리에 있다.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 1000여 곳이 밀집한 보스턴클러스터는 연간 경제 규모만 2조달러에 이른다. 롯데그룹은 시러큐스 공장을 바이오 전략 요충지로 삼을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곳을 시작으로 사업을 확대한다는 것이다.
시러큐스 공장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규모는 연간 3만5000L 정도다. 국내에서 CDMO 사업에 집중하고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에 비해선 크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규모의 경쟁’에 집중했던 CDMO 시장은 세포·유전자 등으로 영역이 확대되면서 점차 ‘질적 성장’이 중요한 분야로 탈바꿈하고 있다”며 “품질 관리 등에 집중한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롯데그룹은 앞서 CDMO 사업 진출을 위해 삼성바이오로직스 출신인 이원직 상무를 영입했다. 롯데의 바이오사업부인 신성장2팀을 이끄는 그는 CDMO 생산, 질 관리 등에 집중해온 베테랑이다. 롯데는 다음달 미국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 ‘바이오USA’에도 참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CDMO 사업을 통해 바이오 신사업 도전장을 낸 롯데그룹이 바이오벤처에 지분을 투자하거나 인수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롯데그룹은 최근까지도 매주 국내 주요 바이오기업들과 미팅하면서 사업 영역 확대를 모색해왔다.
김채연/이지현 기자 why29@hankyung.com